구라마 (순양전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라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순양전함으로, 1911년 2월 28일 준공되었다. 원래 기어드 증기 터빈을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기술적인 문제로 수직 삼단 팽창 왕복 기관을 장착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에 참전했으며,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폐기되어 1925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라마급 순양전함 - 이부키 (순양전함)
이부키는 일본 제국 해군의 장갑순양함으로, 원래 구라마급 순양전함으로 계획되었으나 증기 터빈 엔진 문제와 시험함 역할로 건조가 지연되었고, 태국 국왕 대관식 참석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1923년에 폐함되었다. - 1907년 선박 - 도네 (방호순양함)
러일 전쟁 후 일본 해군이 자체 설계 능력을 입증하고자 엘스윅 크루저 요시노를 참고하여 건조한 2등 방호순양함 도네는 일본 순양함 중 왕복 기관을 탑재한 마지막 함선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중국 수역 경비 활동에 참여 후 1933년 격침되었다. - 1907년 선박 - 이부키 (순양전함)
이부키는 일본 제국 해군의 장갑순양함으로, 원래 구라마급 순양전함으로 계획되었으나 증기 터빈 엔진 문제와 시험함 역할로 건조가 지연되었고, 태국 국왕 대관식 참석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1923년에 폐함되었다. - 일본의 순양전함 - 쓰쿠바 (순양전함)
쓰쿠바는 러일 전쟁 후 일본 해군이 건조한 쓰쿠바급 순양전함의 1번함으로, 일본 국내 설계 및 건조 최초의 주요 군함 중 하나이며, 305mm 포를 탑재하여 강력한 공격력을 갖췄으나 1917년 원인 불명의 폭발로 침몰했다. - 일본의 순양전함 - 이코마 (순양전함)
이코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쓰쿠바급 순양전함 중 하나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아르헨티나 독립 100주년 기념 행사 참석을 위한 세계 일주 항해를 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해체가 결정되었다.
구라마 (순양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 정보 | |
함명 | 구라마 (鞍馬) |
다른 함명 | 일본 함 구라마 |
함종 | 일등 순양함 장갑순양함 순양전함 |
급 | 구라마급 순양전함 |
이전 함명 | 이부키급 장갑 순양함 |
함번 | 1 |
약호 | GKM (1908년 10월 28일 ~ ) JGR (1913년 1월 1일 ~ ) |
![]() | |
함 건조 정보 | |
건조 | 요코스카 해군 공창 |
계획 | 메이지 37년 임시 군사비 |
발주 | 1905년 1월 31일 제조 훈령 |
기공 | 1905년 8월 23일 |
진수 | 1907년 10월 21일 |
준공 | 1911년 2월 28일 |
취역 | 1911년 2월 28일 |
제적 | 1923년 9월 20일 |
최종 운명 | 1923년 9월 20일 해체 |
모항 | 요코스카 |
제원 | |
배수량 | 14,500 영국 톤 1920년: 14,600 영국 톤 상비: 14,636 영국 톤 신조 공시 시: 15,594 영국 톤 |
길이 | 전체 길이: 485 피트 (147.8 m) 수선 길이: (451 피트) 수선간 길이: 450 피트 (137.2 m) |
폭 | 최대 폭: 75 피트 6 인치 (23 m) 또는 75 피트 4+7/8 인치 |
깊이 | 42 피트 2+3/8 인치 42 피트 2+1/4 인치 44 피트 |
흘수 | 26 피트 26 피트 1+5/8 인치 26 피트 1 인치 신조 공시 시: 27 피트 3+1/4 인치 |
추진 | 2축 (외돌이) x 160 rpm |
주기관 | 직립 4기통 3단 왕복동 기관 |
출력 | 계획: 22,500 마력 공시: 23,081 마력 |
보일러 | 미야하라식 혼소 캔 단면 28기 1920년: 18기 |
속력 | 계획: 21.25 노트 |
연료 | 1920년: 석탄 1,868톤, 중유 288톤 |
항속 거리 | 14노트 속력으로 5,000 해리 |
승무원 | 계획 승무원: 844명 준공 시 정원: 842명 1920년 조사: 817명 |
무장 | |
준공 시 | 45구경 12인치 (속사)포 연장 2기 4문 45구경 8인치 (속사)포 연장 4기 8문 4.7인치 (속사)포 단장 14문 1호 단 3인치 포 4문 (또는 3인치 단장포 8문, 또는 6문) 아식 18인치 수중 발사관 현측 2문, 함미 1문 38식 2호 18인치 어뢰 6본 14인치 어뢰 4본 (함재 수뢰정용) 탐조등 90cm 4기, 75cm 1기 |
1920년 | 41식 30cm 포 4문 41식 20cm 포 8문 41식 12cm 포 14문 41식 8cm 포 (자포) 4문 41식 단 8cm 포 4문 마식 6.5mm 기관포 3정 수중 발사관 3문 탐조등 5기 |
장갑 | |
장갑 정보 | 현측: 7인치 (177.8mm) - 4인치 (101.6mm) KC강 갑판: 3인치 (76.2mm) 포탑: 7인치 (177.8mm) - 5인치 (127mm) 사령탑: 8인치 (203.2mm) 바베트: 125-180mm |
다른 정보 | 수평 방어 평탄부 2인치, 경사부 2인치 수선갑대 7인치 상갑대 5인치 포대 5인치 노출 포탑 7인치 |
탑재정 | |
1921년 | 11척 |
1922년 | 56ft 페데트 보트 (함재 수뢰정) 1척 40ft 소형 증기선 2척 40ft 내화정 1척 30ft 커터 4척 30ft 통선 2척 20ft 통선 1척 |
2. 건조 배경 및 설계
1904년 러일 전쟁에 따른 임시 군사비로 예산이 성립되었다.[3] 1905년 1월 31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 제조 훈령이 내려졌다.[4] 같은 해 6월 11일, 일본 해군은 인호 장갑순양함[111]의 이름을 ‘구라마’로 정하고, 첫 번째 장갑순양함은 이부키로 예정했다.[29] 8월 23일, 인호 장갑순양함은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되었고,[27] 1907년 10월 21일에 진수되었다.[27][31] 진수식에는 메이지 천황의 황후(이후 쇼켄 황태후)가 참석했다.[31][32] 이날부터 인호 장갑순양함은 제식 명칭을 ‘구라마’라고 부르고, 1등 순양함으로 분류했다.[34][35] 1911년 2월 28일에 준공되었다.[27]
계획 시점에서는 가토리급 전함에 준하는 포의 위력을 가진 고속함이었지만, 진수할 때쯤에는 드레드노트가 출시되면서 이미 구식함이 되어버렸다.
2. 1. 기술적 문제
''구라마''는 더 강력한 출력을 내고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기어드 증기 터빈으로 설계되었지만, 엔진에 문제가 생겨 기존의 수직 삼단 팽창 왕복 기관으로 완성되었다. ''구라마''는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건조되었다.3. 함력
구라마는 1905년 6월 11일 일본 해군에 의해 인호 장갑순양함[111]으로 명명되었고,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건조되어 1907년 10월 21일에 진수되었다. 진수식에는 메이지 천황의 황후(이후 쇼켄 황태후)가 참석했다. 1911년 2월 28일에 준공되었으나, 드레드노트의 등장으로 인해 구식함이 되었다.[27]
취역 직후, 조지 5세의 즉위 기념 관함식에 참석하기 위해 시마무라 하야오 중장을 사령관으로 하는 파영 함대에 도네와 함께 편성되어 1911년 4월 1일 요코스카 항을 출항, 6월 24일 스핏헤드에서 열린 관함식에 참가한 후 11월 22일 요코스카로 귀환했다.[27]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태평양에서 영국 상선을 보호하고, 곤고, 히에이와 함께 독일령 캐롤라인 제도와 마리아나 제도를 점령하기 위한 상륙 작전을 지원했다.[27] 1914년 9월 14일에는 제1남견지대의 기함으로 마리아나 제도 및 캐롤라인 제도 점령 지원에 종사했다.[27]
1915년 1월 17일 요코스카 군항에 귀항한 후,[40] 5월 20일 제3전대 기함이 되었고,[50] 12월 13일에는 제1함대 제2전대에 편입되어 이코마와 함께 편성되었다.[55]
1916년 12월 1일 제2전대에서 제외되었고,[57] 1917년 7월 23일 구레 해군 공창에서 대수리를 받았다.[58][59] 1918년 4월 1일 제3함대 제5전대에 편입되었고,[60] 5월 18일 훈련 사격 중 거제도 동해안에서 암초와 충돌하여 선체에 손상을 입었다.[61][62][63]
시베리아 출병 지원에 참가하여[98] 1919년 6월 22일 오미나토를 출항하여 러시아 연안을 항행하고 7월 17일 청진에 도착했다.[40] 1920년에도 시베리아 출병 지원에 참가했다.[98]
1921년 3월 하순에는 한반도 남부를 순항하며 해군 사상 보급 활동을 펼쳤고,[73] 4월에는 오이타현에서 개최된 제14회 규슈 오키나와 8현 연합 공진회에 참가하여 오이타항과 우와지마항에 기항했다.[80][81]
1922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체결로 인해 폐기가 결정되었고,[27] 1923년 9월 20일 제적되어 함정류별 등급표에서 삭제되었다.[92][93][94] 1925년 1월 19일 고베 제강소에서 해체가 완료되었다.[98]
3. 1. 취역 초기
1905년 6월 11일, 일본 해군은 인호 장갑순양함[111]의 이름을 ‘구라마’로 정하고, 첫 번째 장갑순양함은 이부키로 예정했다.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건조된 구라마는 1907년 10월 21일에 진수되었는데, 진수식에는 메이지 천황의 황후(이후 쇼켄 황태후)가 참석했다. 이날부터 인호 장갑순양함은 제식 명칭을 ‘구라마’라고 부르고 1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 1911년 2월 28일에 준공되었으나, 건조 당시에는 가토리급 전함에 준하는 화력을 가진 고속함이었지만, 드레드노트가 출시되면서 구식함이 되어버렸다.[27]취역 직후 구라마는 조지 5세의 즉위 기념 관함식에 참석하기 위해 시마무라 하야오 중장을 사령관으로 하는 파영 함대에 도네와 함께 편성되었다. 1911년 3월 하순, 시마무라 중장과 구라마, 도네의 승무원은 메이지 천황을 알현했다. 4월 1일, 두 척의 순양함(구라마, 도네)은 요코스카 항을 출항하여 6월 24일 스핏헤드에서 열린 관함식에 참가했다. 이후 11월 22일 요코스카로 귀환했다.[27]
3. 2. 제1차 세계 대전
구라마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의 연합국 참전을 지원했다. 태평양에서 영국 상선을 보호하고, 곤고, 히에이와 함께 독일령 캐롤라인 제도와 마리아나 제도를 점령하기 위한 상륙 작전을 지원했다.[27]1914년 8월 23일, 일본은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9월 14일, 구라마(기함), 쓰쿠바, 아사마, 제16구축대(우미카제, 야마카제), 난카이마루, 엔카이마루로 제1남견지대를 편성했다. 9월 17일 후타미 항을 출항하여[40] 통상 보호와 마리아나 제도 및 캐롤라인 제도 점령 지원에 종사했다.[27]
1915년 1월 17일, 요코스카 군항에 귀항했다.[40] 5월 7일에는 구레 항을 출항하여 양쯔강 방면의 경비를 수행하고, 5월 11일 중증포에 귀착했다.[40] 5월 20일, 제3전대 기함이 되었다.[50] 12월 13일, 제1함대 제2전대에 편입되었고, 제2전대는 구라마와 이코마 두 척으로 편성되었다.[55] 12월 15일, 제2전대 기함이 되었다.[56]
3. 3. 전간기 및 시베리아 출병
1916년(다이쇼 5년) 12월 1일, 구라마는 제2전대에서 제외되었다.[57] 1917년(다이쇼 6년) 7월 23일, 구레 해군 공창에서 대수리(기관 총검사) 및 빌지 킬 후단을 연장하는 공사가 실시되었다.[58][59] 1918년(다이쇼 7년) 3월까지 대수리가 진행되었고,[2] 3월 26일 수리 공시에서는 19.879노트의 속도를 기록했다.[106]1918년(다이쇼 7년) 4월 1일, 제3함대 제5전대에 편입되었다.[60] 5월 18일, 훈련 사격 중 거제도 동해안에서 암초와 충돌하여 선체에 손상을 입고 침수되었다.[61][62][63] 진해 요항부에서 응급 수리를 받은 후,[64] 7월 25일 제5전대에서 제외되었다.[65] 12월 1일, 제3함대 제5전대에 복귀하여 이부키, 미카사와 함께 3척으로 편성되었다.[66]
시베리아 출병 지원에 참가하여,[98] 1919년(다이쇼 8년) 6월 22일 오미나토를 출항하여 러시아 연안을 항행하고 7월 17일 청진에 도착했다.[40] 8월 19일부터 25일 사이에는 이부키, 아카시와 함께 도야마현후시키, 이시카와현아나미즈, 와지마, 가나자와의 가나자와항을 방문했다.[67] 가나자와에서는 승무원 약 500명이 상륙하여 가나자와시를 방문했고, 일반 공개에는 약 2만 명이 참가했다.[68][69]
1919년(다이쇼 8년) 9월부터 10월까지 40cm 신호용 탐조등 2기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설치했다.[70] 전년에 이어 시베리아 출병 지원에 참가했다.[98] 1920년(다이쇼 9년) 5월 22일 오타루를 출항하여 러시아 연안을 항해, 7월 17일 오타루에 귀착[40], 7월 25일 오타루를 출항하여 10월 10일 오도마리에 귀착[40], 10월 13일 오도마리를 출항하여 10월 20일 오타루에 귀착했다.[40]
1920년(다이쇼 9년) 12월 1일, 제5전대에서 제외되었다.[71] 이후 함대 편성은 없었다.[72] 1921년(다이쇼 10년) 3월 하순에는 한반도 남부를 순항하며 해군 사상 보급 활동을 펼쳤다.[73] 구레에서 310명을 태우고 출항하여 전투 훈련 및 함내 견학을 실시하고,[74] 진해에 입항하여 승객들은 경성으로 이동했다.[75] 부산에서 일반 공개를 실시하고,[76] 벳푸를 거쳐[77][78] 구레로 귀항했다.[79]
1921년(다이쇼 10년) 4월에는 오이타현에서 개최된 제14회 규슈 오키나와 8현 연합 공진회에 참가하여 오이타항과 우와지마항에 기항했다.[80][81] 오이타항에는 스오와 함께 정박했고,[83] 우와지마항에는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정박했다.[85][86] 이후 미쓰하마항을 거쳐[87] 구레로 귀항했다.[88]
3. 4.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과 퇴역
1922년 2월 6일 체결된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의해 폐기가 결정되었다.[27] 10월 시점에서 구라마는 제4 예비함이 되어[89] 사세보 군항에 계류되었으며[90], 정원은 102명(함장과 기관장은 결원 예정)이었다.[91]1923년 9월 20일 제적되었고[92], 함정류별 등급표에서도 삭제되었다.[93][94]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구라마의 병장 철거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11월 8일까지 어뢰 발사관의 육상 인양이 종료되었고[95], 이어서 11월 9일부터[96] 29일까지 보일러의 육상 인양을 실시했다.[97] 1925년 1월 19일, 고베 제강소에서 해체가 완료되었다.[98]
4. 함장
참조
[1]
문서
海軍艦艇史1 p.126、No.1155の写真解説
[2]
문서
戦史叢書31海軍軍戦備1 付表第一その一「大正九年三月調艦艇要目等一覧表 その一 軍艦」
[3]
문서
戦史叢書31海軍軍戦備1 pp.229-231
[4]
문서
M44公文備考19/製造命令及予算等進水式関係(2)画像6-10、明治38年1月31日官房機密第164号「臨時群費ヲ以テ製造スヘキ寅号装甲巡洋艦別紙図面製造方法書及豫算書ニ基キ所属工廠ヲシテ製造セシムヘシ 明治三十八年一月三十一日 海軍大臣 横須賀鎮守府司令長官アテ 備考 臨時軍事費艦艇補足費デ製造スヘキ装甲巡洋艦四隻ヲ子号、丑号、寅号、卯号トシ子、丑ノ二隻ハ呉工廠デ製造中ナリ故ニ本訓令分ヲ寅号トス」
[5]
문서
M44公文備考19/製造命令及予算等進水式関係(1)画像26、明治38年8月23日午前11時5分発電報「鞍馬今二十三日前十時起工済 横鎮長官」
[6]
문서
昭和造船史1 pp.776-777、附表第2 艦艇要目表 1.主力艦要目表
[7]
문서
M44公文備考19/製造命令及予算等進水式関係(5)画像15、明治40年10月21日午後3時12分受け横須賀鎮守府電話「軍艦鞍馬三時七分無事進水 結果良好 海軍省御中」
[8]
문서
M44公文備考19/製造命令及予算等進水式関係(2)画像41、明治44年2月28日横廠第277号の3「新造軍艦授受結了ノ件 軍艦鞍馬本日午前十時授受結了致候 右報告ス(終)」
[9]
문서
内令提要7版/艦船(1)画像1-3、艦艇本籍別一覧表 大正四年四月一日調
[10]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355-358頁
[11]
문서
T8公文備考52/戦闘運転成績表(1)画像16、大正八年軍艦鞍馬軍艦戦闘運転成績表(其ノ一)
[12]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p.107
[13]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p.107による。しかし垂線間長、全長と比較すると明らかに短く、数値に疑問がある
[14]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下巻p.400
[15]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355-358頁では計画20ノットとなっている
[16]
문서
海軍制度沿革10-1(1972)p.499、明治40年11月21日内令第215号。|将校同相当官|33人|兵曹長同相当官、准士官|17人|下士|162人|卒|630人|
[17]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下巻p.406
[18]
문서
海軍艦艇公式図面集 図2-1.装甲巡洋艦 鞍馬型 鞍馬 一般艤装図1/4
[19]
문서
M44公文備考19/製造命令及予算等進水式関係(3)画像21、水雷
[20]
문서
M44公文備考75/魚形水雷発射集合成績表(4)画像42、軍艦鞍馬 四十四年度水雷発射集合成績
[21]
문서
M44公文備考19/製造命令及予算等進水式関係(3)画像21、電気機及圧搾機
[22]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p.220
[23]
문서
昭和造船史1 pp.776-777、では8インチとなっている
[24]
문서
T11公文備考35/配属(1)画像47-48
[25]
문서
M41達/10月画像26、明治41年10月28日達第129号、海軍無線電報取扱規約附表第1
[26]
문서
T1達/12月画像6,7、達第72号
[27]
문서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コマ87(原本136頁)『鞍馬(くらま) 艦種一等巡洋艦 二檣(信號用)
艦名考山名に採る、鞍馬山は山城國に在り、京都の北3里なり、古名暗部山、後世山谷の形状に附會し鞍馬の字を選ぶと云ふ、半腹に鞍馬寺あり。
艦歴明治44年2月下旬竣工し、同年4月1日横須賀發、英國皇帝戴冠式に際し、6月24日同國「スピットヘッド」に於て擧行の観艦式参列の爲め利根と共に英國に回航(第二艦隊司令長官中将島村速雄引率、艦長大佐石井義太郎)。大正元年8月巡洋戰艦に列す(昭和8年類別標準の改正により戰艦となる)。同3年乃至9年戰役(日獨)に從軍:同3年9月第一南遣支隊に属し「マーシャル」・東「カロリン」群島方面の警戒竝に占領に任ず(艦長大佐志津田定一郎)、同12年9月20日除籍、廢棄(華府海軍々備制限條約に由る)。
―要目― 長485呎/幅75.5呎/吃水26呎/排水量14,600噸/機關 往復關機2基、宮原式罐/馬力22,500/速力21.25/乗組人員817/船材 鋼/兵装 12吋4/8吋8/4.7吋砲14/12听砲8/機關砲4/發射管3/起工 明治38-8-23/進水 同40-10-21/竣工 同44-2-28/建造所 横須賀工廠』
[28]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p.139
[29]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p.199『◎戰艦安藝薩摩装甲巡洋艦筑波生駒鞍馬伊吹命名ノ件 明治三十八年六月十一日(内令三一六)新造軍艦六隻艦名左ノ通御治定相成候條命名式擧行マテ部内限リ通用スルコトヲ得ル儀ト心得ヘシ|呉海軍工廠ニ於テ製造 甲號戰艦 安藝|横須賀海軍工廠ニ於テ製造 乙號戰艦 薩摩|呉海軍工廠ニ於テ製造 子號装甲巡洋艦 筑波/丑號装甲巡洋艦 生駒|横須賀海軍工廠ニ於テ製造 寅號装甲巡洋艦 鞍馬|呉海軍工廠ニ於テ製造 第一號装甲巡洋艦 伊吹』
[30]
문서
海軍艦艇史1 p.123、No.1151の写真解説
[31]
간행물
明治40年10月22日官報第7295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07-10-22
[32]
간행물
明治40年10月24日官報第7297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07-10-24
[33]
문서
海軍艦艇史2 p.122、No.1150の写真解説
[34]
문서
達明治40年10月 p.21『達第百十八號 横須賀海軍工廠ニ於テ建造ノ寅號装甲巡洋艦ヲ鞍馬ト命名セラル 明治四十年十月二十一日 海軍大臣男爵 齋藤實』
[35]
문서
達明治40年10月 p.22『達第百十九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巡洋艦ノ欄一等ノ下「生駒」ノ次ニ「鞍馬」ヲ加フ 明治四十年十月二十一日 海軍大臣男爵 齋藤實』
[36]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37]
간행물
○東宮御發艦 皇太子殿下ハ御豫定ノ如ク昨二十七日午前十時十分葉山御用邸御出門同十時四十五分逗子停車場御發車同十一時横須賀停車場御箸車軍艦鹿島ヘ御乗艦正午十二時横須賀軍港御發艦アラセラレタリ|○拝謁竝賢所参拝 在京都華族總代トシテ天機伺ノタメ出京ノ從五位[[唐橋在知]]ハ昨二十七日午前十時三十分拝謁仰付ケラレ又今般英國ヘ派遣ノ第二艦隊軍艦鞍馬、利根乗員島村海軍中将、海軍大佐石井義太郎(中略)ハ同時拝謁竝ニ 賢所参拝仰付ケラレ海軍上等筆記楠田徳太郎以下百三十六名ハ 賢所参拝仰付ケラレタリ
https://dl.ndl.go.jp[...]
明治44年3月28日官報第8326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9
[38]
간행물
○拝謁竝賢所参拝 今般英國ヘ派遣ノ第二艦隊軍艦鞍馬、利根乗員海軍中佐吉田清風(中略)昨二十八日午前十時三十分拝謁竝ニ 賢所参拝仰付ケラレ海軍上等兵曹森山藤四郎以下百四十四名ハ同時 賢所参拝仰付ケラレタリ
https://dl.ndl.go.jp[...]
明治44年3月29日官報第8327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8
[39]
간행물
○軍艦發箸 各港灣ニ於ケル軍艦發箸左ノ如シ(海軍省)
https://dl.ndl.go.jp[...]
明治44年4月5日官報第8332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8
[40]
문서
S9.12.31恩給叙勲年加算調査(下)/軍艦(1)
[41]
서적
思い出の日本軍艦 訪欧時の『鞍馬』と『利根』
[42]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43]
문서
M45-T1公文備考27/装備及換装(1)
[44]
문서
達大正1年8月
[45]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46]
문서
達大正1年8月
[47]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48]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49]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50]
문서
T4公文備考46/旗艦変更、役務変更届
[51]
문서
T4公文備考43/改造(2)
[52]
문서
T4公文備考43/改造(2)
[53]
문서
T4公文備考44/試験(1)
[54]
문서
T4公文備考46/旗艦変更、役務変更届
[55]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56]
문서
T4公文備考46/旗艦変更、役務変更届
[57]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58]
문서
T6公文備考20/修理(2)
[59]
문서
T7公文備考20/新設、増設(4)
[60]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61]
문서
T7公文備考33/軍艦の部(10)
[62]
문서
T7公文備考33/軍艦の部(10)
[63]
문서
T7公文備考33/軍艦の部(10)
[64]
문서
T7公文備考21/修理(3)
[65]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66]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67]
문서
T8公文備考21/役務(2)
[68]
문서
T8公文備考21/役務(2)
[69]
문서
T8公文備考21/役務(2)
[70]
문서
T8公文備考20/試験(2)
[71]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p.35、大正9年12月1日内令462
[72]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pp.35-39
[73]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5) 画像28-29、軍艦鞍馬巡航報告 一.目的、二.計画
[74]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5) 画像31-32、軍艦鞍馬巡航報告 三.実施、3月24日
[75]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5) 画像31-32、軍艦鞍馬巡航報告 3月25日
[76]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5) 画像35-36、軍艦鞍馬巡航報告 3月28日
[77]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5) 画像36-37、軍艦鞍馬巡航報告 3月29日
[78]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5) 画像37、軍艦鞍馬巡航報告 3月30日
[79]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5) 画像37-38、軍艦鞍馬巡航報告 3月31日
[80]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2) 画像21-22、大正10年3月30日官房第875号の3「共進会開催ニ付軍艦回航方ノ件」
[81]
문서
T10公文備考巻28/回航、派遣(2) 画像26、大正10年3月11日呉鎮第271号の4「大分宇和島両港ヘ艦船派遣に関スル件」
[82]
문서
T10海軍公報上/4月(1) 画像39、4月11日艦船所在
[83]
문서
T10海軍公報上/4月(1) 画像49、4月12日艦船所在
[84]
문서
T10海軍公報上/4月(2) 画像3、4月13日艦船所在
[85]
문서
T10海軍公報上/4月(2) 画像38、4月22日艦船所在
[86]
문서
T10海軍公報上/4月(3) 画像3、4月26日艦船所在「二十六日宇和島発三津浜ヘ」
[87]
문서
T10海軍公報上/4月(3) 画像6、4月27日艦船所在
[88]
문서
T10海軍公報上/4月(3) 画像10、4月29日艦船所在
[89]
문서
T11公文備考38/准士官以上士官室に合併の件 画像4-5、大正11年10月5日佐鎮第481号
[90]
문서
11公文備考36/処分(2) 画像34-36、大正11年9月16日佐鎮機密第232号の23
[91]
문서
11公文備考36/処分(2) 画像37、鞍馬生駒肥前第四豫備艦特別乗員表
[92]
문서
達大正12年9月 p.2『達第百九十五號 軍艦 香取/同 鹿島/同 薩摩/同 安藝/同 生駒/同 鞍馬/同 伊吹/同 三笠/同 肥前 右帝國軍艦籍ヨリ除カル 大正十二年九月二十日 海軍大臣 財部彪』
[93]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p.60『◎大正十二年九月二十日(達一九六)艦艇類別等級別表中戰艦ノ欄内「香取、鹿島、薩摩、安藝」、巡洋戰艦ノ欄内「生駒、鞍馬、伊吹」及海防艦ノ欄内「三笠、肥前」ヲ削除ス』
[94]
문서
達明治39年11月 p.2『達第百九十六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戰艦ノ欄内「香取、鹿島、薩摩、安藝」、巡洋戰艦ノ欄内「生駒、鞍馬、伊吹」及海防艦ノ欄内「三笠、肥前」ヲ削除ス 大正十二年九月二十日 海軍大臣 財部彪』
[95]
문서
T12公文備考22/廃棄艦解体陸揚作業 画像3
[96]
문서
T12公文備考22/廃棄艦解体陸揚作業 画像4
[97]
문서
T12公文備考22/廃棄艦解体陸揚作業 画像11
[98]
서적
主要艦艇艦歴表
[99]
간행물
官報
1917-12-03
[100]
간행물
官報
1919-11-21
[101]
간행물
官報
1922-04-04
[102]
간행물
官報
1922-11-11
[103]
간행물
官報
1922-12-02
[104]
간행물
官報
1923-04-02
[105]
문서
T4公文備考44/試験(1) 画像42
[106]
문서
"#T7公文備考22/試験 画像11、電報"
[107]
서적
日本海軍全艦艇史上巻
[108]
서적
日本海軍全艦艇史上巻
[109]
서적
海軍艦艇史2
[110]
서적
日本海軍全艦艇史上巻
[111]
문서
寅号装甲巡洋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